始祖와 本貫 시조와 본관

청송심씨(靑松沈氏)는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始祖)로 받들고,그의 증손 덕부(德符)가 우왕(禑王)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러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가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진봉되어 후손들이 청송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청송(靑松)은 경상북도(慶尙北道) 중부 동쪽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본래 고구려(高句麗)의 청기현(靑己縣)인데 신라(新羅) 때 적선(積善)으로 고쳐서 야성군(野城郡|현 영덕군)에 속했다가 고려(高麗) 초에 부이현(鳧伊縣)이 되고 운봉(雲鳳)으로 개칭하여 예주(禮州|영해)에 속했다.

조선(朝鮮) 태조(太祖) 때 진보현(眞寶縣)에 합하였고 一四一九년(世祖 元年)에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후에 진보와 분리되고 송생현(松生縣)과 합하여 청송(靑松)으로 개칭하였으며,부(府)로 승격하고 一八九五년(고종 三十二) 군(郡)이 되었다.

 

덕부(德符)는 태조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창업에 공을 세우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으며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와 영삼사사(領三司事)를 거쳐 一三九九년(정종 一)에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렀다.그의 아우 원부(元符)는 고려 말에 여러 관직을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의 국운이 다하자 새 왕조(王朝)의 벼슬을 거부하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절의(節義)를 지켰으며,후손들도 그의 유훈을 받들어〈선훈불사(先訓不仕)〉라 하여 대대로 벼슬을 멀리 하였다.

일찍이 조선(朝鮮) 개국(開國)을 시작으로 명문벌족(名門伐族)의 지위를 굳혀 온 청송심씨는 덕부의 아들 七형제 대(代)에서 가세(家勢)가 크게 융성하여 가장 화려한 인맥(人脈)을 이루었다. 세종(世宗)의 장인이면서도 상왕(上王)인 태종(太宗)의 비위에 거슬려 끝내 왕명(王命)으로 죽음을 당했던 온(溫)은 청성백(靑城伯) 덕부(德符)의 다섯째 아들이다.

 

온(溫)의 장녀는 태종의 셋째 왕자인 충녕대군과 가례를 올렸으며,세종이 즉위하자 중전(中殿|昭憲王后)이 되었다.태종이 세종에게 선위한 뒤 병권(兵權)만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온(溫)의 막내아우인 정(谷)이 병조참판 강상인(姜尙仁)에게 『내금위(內禁衛)에 군사의 결원이 심해 시위(侍衛)가 허소(虛疎)한 바 어찌 전보(塡補)하지 않는가』 하니 강상인이 『군사를 한 곳으로 모은다면 어찌 그 다소(多少)를 논하겠는가』 하였다.

이 말이 상왕의 귀에 들어가 무술옥사(戊戌獄事)가 일어났다.평소에 사이가 나빴던 박은(당시 좌의정)이 『심온(沈溫)에게 인심이 쏠린다』고 고변하여,영의정(領議政)으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의주(義州)에서 피체되어 한양에 압송된 후 수원(水原)에서 자진(自盡)하였다.죽음에 임하여 온(溫)은 『내 자손들은 대대로 박씨와 혼인하지 말라』고 유언하였다.그 후 심씨는 대대로 그 유언을 지켜 박씨와 혼인을 논하지 않다가 온(溫)의 현손(玄孫) 의(袴|부사맹 의창(儀昌)의 아들)와 융(홴|경력 의검(義儉)의 아들)이 박씨와 혼인했는데 후손에 아들이 없거나 자손이 융성하지 못하였다.

 

온(溫)의 아우 종(淙)이 태조의 부마로 청원군(靑原君)에 봉해졌고,온(溫)의 둘째 아들 회(澮)는 세조 때 영의정(領議政)을 역임하여 三대〔四세 덕부(德符),五세 온(溫),六세 회(澮)〕 정승(政丞)의 영예를 누렸다.

회(澮)의 아들 三형제 중 막내 원(湲|내자시 판관(判官) 역임)의 아들 순문(順門)은 장령(掌令)으로 연산군의 어의(御衣)에 대하여 크기를 논(論)한 것이 화근(禍根)이 되어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개령으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옥사에 연루되어 참형을 당했다.「정암연주(靜庵筵奏)」에 의하면 그는 임금의 얼굴을 쳐다보았다는 죄목으로 화를 입었다고 하며,그의 죽음을 두고 대간들이 무척 논의했다는 기록이 전한다.일설(一說)에는 순문(順門)이 무척 사랑했던 기생을 연산군이 강탈해 간 일이 있었는데 이 같은 관계를 둔 연적(戀敵)에 의한 대립감정이라고 한다.또 그의 할아버지 회(澮)가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씨(尹氏)에게 사약을 내릴 때 영의정이었다는 연유로 관작(官爵)이 추탈(追奪)되고 부관참시 되었으며,그에 연좌되어 죽음을 당했다고도 한다.

순문의 아들로 명종(明宗) 때 영의정에 올라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에 진봉되었던 연원(連源)은 아버지 순문(順門)이 군기시(軍器寺) 앞길에서 형을 당했으므로 일생동안 그 앞을 지나다니지 않았다고 하며,항상 왕실의 외척됨을 경계하여 그의 손자 이름들을 모두 겸(謙)자 돌림으로 지었다고 한다.

 

연원(連源)의 아우 봉원(逢源)은 명종 때 사예(司藝)를 지내고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에 이르렀으며,그림,글씨,음률,의술 등에 능통하고 시문(詩文)에도 조예가 깊었다.심기안정법(心氣安定法)을 터득하여 태화산(太華山) 기슭에서 집을 짓고 살며 자호(自號)를 효창노인(曉窓老人)으로 하여 하얀 수염을 날리며 산수(山水) 틈에서 여생을 살았는데,옷은 반드시 무게를 달아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게 지어 입었으며 밥도 숟갈을 세어서 먹었고,씹는 것도 그 속도나 횟수가 정해져 있다고 하며,동작도 휴식도 조절하였고 마음 쓰는 것도 그 심도의 분량을 근량으로 재는 듯 하였다.막내 아우인 통원(通源)은 명종(明宗) 때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과 우의정(右議政)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치사 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연원(連源)의 아들 강(鋼)은 명종비(明宗妃)인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아버지로 활인서별좌(活人署別坐)를 거쳐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졌으며,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 겸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역임했다.특히 그는 권귀 속에서도 가풍을 지켜 신진사류로서 화를 당하려던 박순(朴淳) 등을 아들 의겸(義謙)과 함께 구하고 권신 이양(李樑)을 제거하여 주위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그의 아들 의겸(義謙)은 서인의 거두로서 선조 때 좌부승지(左副承旨)와 대사간(大司諫)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지내는 동안 사림(士林)의 명망이 높았으며,충겸(忠謙)은 임진왜란 때 호성이등공신(扈聖二等功臣)으로 청림군(靑林君)에 추봉되었다.

 

한편 충겸(忠謙)의 아들 열(悅)은 인조 때 경제에 능한 정치가로 명망이 높았으며 좌의정과 영의정을 거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르렀고,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다.동지돈녕부사 봉원(逢源)의 손자 희수(喜壽)는 선조 말에 이조판서(吏曹判書)와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 좌?우찬성(左↓塗행?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으며,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한 후 권신 이이첨의 전횡이 심해지자 병을 핑계로 사직을 청했으나 허락되지 않고 우의정(右議政)에 전임되어,一六一四년(광해군 六) 영창대군의 신원을 상소했다가 사형을 당하게 된 정온(鄭蘊)을 구하여 유배에 그치게 하는 등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특히 그는 상신의 벼슬을 지내면서도 허물어져 가는 집 한 채 밖에 없어서 임금이 대궐의 말 한 마리를 보내어 팔아서 집을 고치라고 시켰을 만큼 가난하게 살았으며,만년에 둔지산(屯之山)에 들어가 시로써 여생을 보냈다.

부사(府使) 종침(宗왔)의 손자이자 설(僕)의 아들로 효종조(孝宗朝)의 영상이던 지원(之源)은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어 아들 익현(益顯)과 함께 필명(筆名)을 떨쳤으며,지원의 증손 사정(師正)은 산수화(山水畵)에 새로운 화풍을 이루어 김홍도(金弘道)와 함께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화가로 저명했다.

영조 때 영의정으로 청나라에 사람을 보내 달력을 만드는 신법을 연구해 오게 했던 수현(壽賢|응교 유(濡)의 아들)의 아들 육(섐|찬선을 지냄)은 효자로 이름을 떨쳤다.

 

선조 때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했던 달원(達源)의 손자 우승(友勝)은 호조참판에 올라 원병으로 온 명나라 군사의 행패를 다스리다가 무고를 당했고,그 후 한성부 우윤을 거쳐 사후(死後)에 영의정에 추증되고 호성이등공신(扈聖二等功臣)으로 청계부원군(靑溪府院君)에 추봉되었으며,흥원(興源)의 손자 우신(友信)은 임진왜란 때 가재를 팔아 수천 명의 의병을 일으켜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과 진주성을 지키다가 성이 함락되자 강물에 몸을 던져 장렬하게 순절하여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공을 세워 정사일등공신(靖社一等功臣)으로 청원부원군(靑原府院君)에 봉해졌던 기원(器遠)은 좌의정을 역임하였으나 인조 二十二년에 회은군(懷恩君) 사건에 연루되어 피화(被禍)되었다.

정조 때 좌의정에 오른 환지(煥之|교리 태현(泰賢)의 손자.진(鎭)의 아들)도 명성을 떨쳤으며,예조참판 염조(念祖)의 아들 상규(象奎)는 순조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내고 문장과 필법이 뛰어나 당대의 제 一인자로 손꼽혔다.

 

그 밖의 인물로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용맹을 떨쳤던 우정(友正)의 아들 현(좁)은 인조 때 여러 군현(郡縣)의 수령(守令)을 지내고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러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종사(宗社)를 따라 강화(江華)에 피난가서 청병(淸兵)이 상륙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가묘(家廟)의 위패(位牌)를 땅에 묻은 후 국난의 비운을 통탄하는 유소(遺疎)를 쓰고 부부가 함께 자결했다.역사상 이들 부부처럼 태연하고 절도 있는 죽음은 없었다고 하는데 그 때 부부의 나이가 七十세였다.조카 심동구(沈東龜)가 배를 대 놓고 피난할 것을 발을 구르며 재촉하고 있는데 현(좁)은 애써 돌려보내고 조복을 입은 다음 동향사배를 하고 임금에게 올리는 유소(遺疏)를 지었다.〈신(臣) 현(좁)은 동향사배하고 남한산성에 계신 주상전하에게 올리옵나이다〉로 시작된 이 글의 내용은 임금에 대한 보은(報恩)의 죽음을 전하는 내용이었다.그 유소(遺疏)를 외손자 박장원(朴長遠)에게 주어 배를 태워 보낸 후 부인 송씨를 돌아보며 『정(情)은 백년을 같이하고 의(義)는 한 번 죽음을 같이하니 내가 충신(忠臣)이 되고 그대는 충신의 아내가 되지 않겠는가』 하며 함께 죽을 것을 권유하자,송씨는 『종용당고사(從容堂故事|죽음이 주는 생리적 고통이나 정신적 갈등을 무화시킨다는 뜻)를 본받겠나이다』 하고 말했다.이들 부부는 서로 마주보며 『갑시다』 하고는 목을 매었다고 한다.

 

구한말에 와서는 철종 때 한성부판윤과 대사헌(大司憲)과 예조판서를 지낸 경택(敬澤),형조판서 의면(宜冕),공조판서를 지낸 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의원(宜元),고종 때 영의정에 올라 청?일 강대국 사이에 끼인 한국의 갖가지 어려운 정치적 고비를 겪었던 순택(舜澤),예조판서 이택(履澤),협판교섭통상사무(協辦交涉通商事務) 상학(相學)이 유명했으며,상훈(相熏)은 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와 이조판서를 거쳐 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을 역임하였고,농촌문학의 선구자인 훈(熏|본명 대섭,상록수 저자)과 함께 명문 청송심씨를 더욱 빛냈다.

二○○○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청송심씨(靑松沈氏)는 남한(南韓)에 총 六五,七四四가구에 二一二,七一七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前譜에 수록된 내용

靑松沈氏世錄首編

姓氏本源

沈國名又水名在楚之上蔡汝南府汶水卽流

春秋傳云周文王第十子聃季食采於沈其後因以邑爲姓云事文類聚姓氏部云周文王封子時叔子沈其後爲沈氏云又云沈國名臺헉所封諸說不同

청송심씨 세보 수편

성씨의 본원

심(沈)은 나라 이름이라 하고 또는 물 이름이라 하니 초나라의 상채(上蔡) 여남부에 있는 문수(汶水)가 이것이라 한다.

춘추전에 이르기를 주문왕의 제十자 담계(聃季)가 심을 식읍으로 받은 뒤로부터 성을 삼았다 한다.사문유취(事文類聚|冊 이름) 성씨부에 이르기를 주문왕이 아들 시숙(時叔)을 심에 봉한 뒤로부터 심씨가 되었다 하고 또 이르기를 심은 나라 이름이고 대태(臺헉)의 봉한 바가 되었다 하니 여러 설명이 같지 아니하다.

 

 

上世傳來闕疑事蹟

我東沈氏發蹟事實旣無可徵文獻而源流譜靑松沈氏章有曰沈忠高麗官至中尹子公佐 國子進士子守貞國子進士子洪孚文林郞衛尉寺丞云云源流譜未知誰人所作而亦未知從何溯考也宗人東濟家古牒亦有此三世韓啣而註以高麗時進士賢佐自中原東來云意者此牒亦出自源流譜而傳웩歟목惟乙巳컵譜時去古未遠家聲蔚暢溯考先蹟何患無源流譜又何無東濟家牒而無此三世起自交林郞公爲鼻祖則其無稽可知而亦不可使後世不知故謹識于此而備後攷

상세에서 전해오는 의심스러운 사실

우리나라 심씨의 발적(發蹟|시초의 사적) 사실을 증거할 만한 문헌이 없고 원류보(源流譜) 청송심씨 장에 일렀기를 심충(沈忠)은 고려 때 벼슬이 중윤(中尹)에 이르렀고 아들 공좌(公佐|또는 賢佐)는 국자진사(國子進士)요 아들 수정(守貞)은 국자진사요 아들 홍부(洪孚)는 문림랑 위위 시승이라 하니 원류보가 누구의 소작임을 알 수 없으니 또한 상고해볼 길도 없다.종인 동제(東濟)의 집 고첩에도 또한 이 三세의 휘자가 있고 주에는 고려 때 진사 현좌(賢佐)가 중국으로부터 동으로 왔다 하니 짐작건대 이 고첩도 원류보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의심스럽다.을사보를 창간할 때만 해도 새로 가풍이 울창했으니 선조의 실적을 상고하려 하면 어찌 원류보와 동제의 가첩이 없음을 걱정했으리요.그러나 이 三세가 없고 문림랑공으로 비조(鼻祖|始祖와 같음)를 삼았으니 더 이상 상고할 길 없음을 알았고 또한 후세에 알릴 필요가 없겠으므로 삼가 이것을 적어서 뒷사람의 고증에 대비한다.

 

 

貫鄕建置沿革及地方里程

束國輿地勝覽云靑松本高句麗時靑杞縣新羅時改積善縣又改野城縣高麗初爲옮伊縣又改雲鳳縣成宗改靑옮縣屬于禮州 太祖三年合爲웅寶 世宗元年以王后之鄕陞爲靑寶郡後析웅寶以松生縣來合仍改靑松郡 世祖陞爲都護府以安德縣來合今庚戌以웅寶郡來合在慶尙北道距京城五百九十里大邱府二百十里

관향을 세운 연혁과 지방리정

동국여지승람(輿地勝覽|地理冊)에 일렀기를 청송은 본래 고구려 때 청기(靑杞)현이었고 신라 때는 적선(積善)현에서 또 야성(野城)현으로 고쳤고 고려 초에는 부이(옮伊)현 또는 운봉(雲鳳)현으로 고쳤으며 고려 성종이 청부(靑옮)현으로 고쳐 예주에 귀속시켰다.태조 三년에 합쳐 진보(웅寶)라 했고 세종 원년에는 왕후의 고장이라 해서 청보(靑寶)군이라 했으며 뒤에 진보를 떼었고 송생현을 합쳐 청송(靑松)군으로 고쳤다.세조가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안덕현을 포함시켰고 경술년에는 진보군을 합쳤으니 경상북도에 있다.거리는 서울에서 五百九十里,대구에서 二百十里가 된다.